설교문 모음/새벽 예배 설교

[매일성경 QT설교] 희년을 통해 알려주신 2가지, 레 25:23-38 (8월 15일)

나는 PRAYER 2022. 8. 15.

희년을 통해 알려주신 2가지

본문: 레위기 25장 23-38절

 

 

오늘 말씀은 희년에 관련된 말씀입니다. 희년은 매 50년마다 돌아오는 ‘해방과 회복의 해’였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들어가게 될 가나안 땅의 원주민들의 토지 개념은 하나님이 이스라엘에 제정하신 것과는 달랐습니다. 가나안 원주민들의 토지 개념은 도시의 지배층이나 영주들이 땅을 소유하고 나머지 사람들이 그것을 소작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스라엘 민족이 가나안에 정착하면서 이런 토지 개념은 완전히 변화했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지파에 따라 공평하게 땅을 분배받도록 하셨습니다. 가나안 땅에 새로운 질서를 형성하신 것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빚으로 토지를 빼앗기고 조상들의 땅을 떠나 다른 지방을 떠도는 사람들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이런 모습은 하나님이 세우신 공동체를 파괴하는 위협적인 일이었습니다. 하나님은 이런 문제가 생길 것을 아시고 희년이라는 제도를 통해서 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셨습니다.

 

희년이 되면 모든 땅이 원래의 소유자에게로, 즉 처음 토지를 분배받았던 가문에게로 돌아갑니다. 그 근거는 23절 말씀에 나와 있습니다.

‘토지를 영구히 팔지 말 것은 토지는 다 내 것임이니라 너희는 거류민이요 동거하는 자로서 나와 함께 있느니라’

모든 땅은 바로 하나님의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 정착할 때는 모두가 아무것도 가지지 못한 상황에서 제비를 뽑아 공평하게 땅을 나누었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가문 대대로 물려졌습니다. 처음부터 그들 자신의 땅이 아니었던 것입니다. 가나안 땅은 하나님이 차지하게 하신 땅이었고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도우심이 없었다면 결코 차지할 수 없었을 땅입니다. 그래서 이 모든 땅은 하나님의 것이고 자신의 것이 아니기 때문에 땅을 사고팔거나 남에게 양도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결국 파산하거나 빼앗겨서 이런 법칙이 어겨진다고 할지라도, 희년이 되면 다시 원래의 자리대로 돌아가는 것이었습니다. 희년은 처음 땅이 나뉘었을 때의 모습으로 되돌아가는 것입니다.

 

희년은 일곱 번째 안식년인 49년 7월에 시작하여 다음 해 50년 7월까지를 희년으로 보냈습니다. 이스라엘 땅에서는 1년 농사를 종교력으로 7월에 시작하여 다음 해 7월에 마칩니다. 종교력으로 7월은 태양력으로 9~10월에 해당합니다. 7월에 보리와 밀을 뿌리고, 2~3월에 보리, 밀을 수확합니다. 그리고 7월에 포도 수확으로 한 해의 농사를 마치게 됩니다. 추수와 파종의 시기와 맞물려서 땅이 온전케 휴경할 수 있도록 안식년과 희년을 지키게 한 것입니다.

 

하나님은 희년을 통해서 2가지를 우리에게 알려주고 계십니다.

 

첫째, 땅의 주인은 하나님이심을 알려주셨습니다.

토지는 하나님의 소유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땅의 주인이 아니라 임시로 거주하는 거류민에 불과합니다. 이스라엘의 모든 지파와 그 가족들은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각기 땅을 분배받았습니다. 그 땅은 하나님이 맡기신 기업으로 다른 사람에게 결코 양도할 수 없습니다.

 

열왕기서에 보면 나봇이라는 사람이 포도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나봇의 포도원을 아합왕이 탐내기 시작했습니다. 아합왕은 나봇에게 그 땅을 팔라고 제안했지만 나봇은 그 토지를 조상들로부터 물려받았기 때문에 거래할 수 없다고 거절합니다. 이것을 알게 된 이세벨 왕비가 나봇을 죽이고 포도원을 빼앗았습니다. 나봇은 자신의 포도원을 지키기 위해 순교까지 불사했던 것입니다. 왜 이렇게까지 했을까요? 하나님의 명령을 기억했던 사람이 나봇이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은 가나안 땅이 생존의 기반인 동시에 하나님이 허락하신 복의 원천임을 잊지 말아야 했습니다. 만약 이스라엘이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분께 순종한다면 하나님은 가나안 땅에서 그들이 풍성한 열매를 맺게 하실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을 거절하고 배반한다면 엉겅퀴만 보게 될 것입니다.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이 땅의 모든 것이 하나님의 것임을 기억하고 하나님을 경외하고 하나님을 찾고 의지할 때 하나님께서 베풀어주시는 풍성한 은혜를 경험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떠나는 것은 빈손이 되는 것입니다. 아무것도 남지 않는 것입니다. 이것을 기억하며 모든 것의 주인이신 하나님을 바라보고 하나님을 통해 복을 누리는 우리가 되길 소망합니다.

 

둘째, 사람들의 형편을 배려해야 함을 알려주셨습니다.

하나님은 누구도 땅을 독점하지 못하도록 제도적 보완 장치를 마련하셨습니다. 혹시 어떤 사람이 기업으로 받은 땅을 빚 때문에 팔았더라도 언제든지 무를 수 있게 하신 것입니다. ‘무른다’라는 말은 ‘구속한다’라는 뜻으로, 값을 지불하고 땅을 되찾아오는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이 희년의 땅 무르기 규정은 기계적으로 이뤄진 것이 아니었습니다. 형편과 처지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적용되었습니다. 집의 경우 성벽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다르게 취급되었고, 성안에 있는 집은 1년 안에 무를 수 있지만, 그 이후에는 무를 수 없게 하셨습니다. 장사를 주로 하는 성안 사람들에게 집은 기업이 아닌 소유물로서의 의미가 크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성벽이 없는 동네의 집은 농지에 붙어 있기 때문에 땅과 같이 간주했습니다. 그래서 이 집은 땅처럼 물러주어야 했고, 희년이 되면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도록 하셨습니다.

단 예외 규정이 있었는데 이는 레위 족속입니다. 땅이 없는 레위 족속의 경우에는 성안에 있는 집을 기업으로 간주해 언제든지 무를 수 있었습니다.

 

하나님이 정하신 규정은 모두 사람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사랑하는 자녀가 한 사람이라도 소외되는 것을 원치 않으십니다. 그래서 사람들의 형편에 맞게 땅 무르기 제도를 융통성 있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신 것입니다.

 

하나님은 희년을 통해 연약하고 가난한 자들을 보호해 주셨습니다. 잘 사는 사람만 더 잘살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땅 무르기 제도를 통해서 실패한 사람도 다시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주셨고 그럴 형편이 안되는 사람에게는 희년 제도를 통해서 온전히 회복케 만들어주셨습니다.

 

이것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하나님은 공동체 안에 있는 사람들을 사랑으로 배려하길 원하십니다. 교회는 구제가 필요한 사람들을 돕고 배려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일을 사랑으로 감당해야 합니다.

 

유기성 목사님이 한 책에서 이렇게 고백하셨었습니다. 목회하면서 직분자는 주일 성수 잘하고, 십일조 헌금 잘하고, 성경 공부 열심히 참석하고, 교회 봉사 잘하면 된다고 생각하셨다고 합니다. 사랑은 조금 부족해도 크게 상관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심사숙고해서 직분을 맡겼는데 왜 그들이 문제를 일으키는지 알지 못했다고 합니다. 그러다 주님의 교회는 사랑 없이 세워지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으셨다고 합니다.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을 사랑하시고 그들의 형편을 배려하는 제도를 통해 삶을 회복케 하신 것처럼 우리도 교회 안에 어렵고 힘들어하는 지체들이 있다면 사랑으로 배려해주고 도와주는 모습이 필요합니다.

 

 

희년은 하나님의 사랑이 담긴 제도입니다. 모든 것이 하나님의 것임을 인정하고 하나님을 의지할 때 하나님은 하나님의 자녀들에게 풍성한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케 하실 것입니다. 또한 하나님은 우리의 모든 형편을 아시고 배려해주시는 사랑의 하나님이심을 기억하길 원합니다. 그 모습을 따라서 우리도 우리 교회의 지체들을 사랑으로 감싸주고 배려할 때 이 교회가 온전히 세워질 것입니다.

 

오늘 아침 하나님이 주신 희년이라는 제도를 기억하며 하나님의 사랑을 기억하고 그 사랑을 풍성히 경험하고 나누는 우리 모두가 되길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댓글